시민코디네이트 양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공원녹지 교양강좌 개강하다 13. 10.15
페이지 정보
본문

강좌는 내년 개장을 앞둔 부산시민공원을 비롯하여 부산지역 대표적 공원의 생성과 운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아는 한편 활동가로서 현대 도시가 요구하는 도시주요 기반시설인 공원녹지가 추구해야 할 비젼과 해외사례 등을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서 풀어가는강좌이다.
활동가 교양 강좌는 공원의 존재가 지역주민의 삶과 직결되는 공간이란 점에 주목하고 지역주민과 공원녹지의 연결을 통해 생애주기형 공원활동으로 변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서의 역할도 도모하고자 한다. 나아가
부산시민공원의 조성 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민관의 시각차와 추구방향에 대해서도 소통과 상호협력적 파트너 십을 모색하는 장으로도 기능할 계획이다.
구 분 |
날 짜 |
강 좌 |
강 의 내 용 |
강 사 |
이론강의 |
10/14(월) |
1 |
공원이란? 정의와 필요성 |
김동필 부산대교수 |
10/18(금) |
2 |
녹색지역 재생과 주민소통 |
한영숙 싸이트플레이닝 대표 | |
10/21(월) |
3 |
녹색복지와 공원녹지 |
김승환 동아대교수 | |
10/25(금) |
4 |
부산시민공원의 탄생과 역사 |
유현 시민공원추진단 학예사 | |
10/28(월) |
5 |
부산의 근대공원: 역사와 미래 |
강영조 동아대교수 | |
11/ 1(금) |
6 |
부산의 녹지: 정책과 현황 |
이동흡 부산시그린지원단단장 | |
11/ 4(월) |
7 |
변화하는 도시, 진화하는 공원 |
이유직 부산대교수 | |
11/ 7(금) |
8 |
도시계획과 도시공원 이해 |
강동진 경성대교수 | |
11/11(월) |
9 |
공원녹지의 관리와 운영 |
이유직 부산대교수 | |
현장탐방 |
11 /9(토) |
10 |
부산시민공원 답사 |
|
유엔기념공원과 평화공원 |
이성근 부산BGT처장 | |||
11 /2(토) |
11 |
서울시민이 만든 서울숲 답사 |
이강오 서울SGT처장 | |
수 료 식 |
11/11(월) |
내가 그리는 부산의 공원: 이상과 현실 |
공동워크샵 | |
첫 강좌는 부산대 조경학과 김동필 교수가 맡았다. 공원에 대한 정의와 가치 분류를 통해 공원탄생의 역사적 배경과 진화를 통해 법제화 되는 과정과 공원의 종류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이날 강의에는 공원 알리미 단원분들이 청강하기도 하였다. 강좌 수강생으로 참석한 김해몽 시민센터장은 가의가 재미있고 유익하다며 활동가들이 시간을 쪼개서라도 들을 수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
- 이전글
- 작지만 알차게 마무리 된 그린코디네이트 강좌, 수료생의 얼굴이 빛난다 13.11.15
- 14.06.26
-
- 다음글
- 공원특공대 현장수업
- 14.06.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