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BGT 환경뉴스 2023년 12월 6일 (수) 제1290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322회 작성일 23-12-06 12:15

본문

BGT 환경뉴스 2023126() 1290

 

사무처 주요 일정

1. 가덕 100년 숲 세미나 준비

2. 공원 평가단 현장 모니터 세부 지침서 보완

3. 부산 지속가능발전협 세미나

62e37987ea7e9c39a5f71832ac7f419c_1701832340_2619.JPG

오늘의 환경뉴스

1. 엑스포 유치 실패와 부산의 미래

2. 최상목 엑스포, 서울-부산 축 균형발전 위해 추진

3. 큰 나무

4. 고목의 시간·거목의 풍채제목이 되다

5. "엑스포 유치 실패 했으니 가덕도 신공항 건설 백지화해야"

6. 외신 "엑스포 유치 실패, 윤 정부의 '뒤죽박죽' 외교 보여줬다"


큰 나무

62e37987ea7e9c39a5f71832ac7f419c_1701832496_0722.JPG
 

한민족은 나무 숭배의 전통이 깊었다. ‘당나무로 불리는 마을 어귀 큰 나무를 숭배하는 수목신앙은 가장 오래되고 광범위한 토속신앙이다. 단군설화는 천제의 아들 환웅이 태백산 신단수로 내려오면서 시작된다. 큰 나무 앞에서 느끼는 외경심은 인류의 보편적 정서다. 붓다는 보리수 아래에서 득도해 불교를 창시했다. 유럽 성당 기둥의 나무 문양은 나무를 숭배한 토속신앙을 흡수한 것이라고 한다.

 

노거수는 생태적으로도 중요하다. 일부 생태계에서는 날짐승·들짐승의 30%가 큰 나무를 집으로 삼는다. 사람들도 나무를 중심으로 모인다. 정자나무는 마을의 공동 사랑방으로 공동체의 구심점과 해를 가리는 그늘 역할을 해왔다. 마을잔치 때면 큰 나무 아래가 떠들썩했다.

 

오래된 나무는 급감 중이다. 제주도의 수령 100년 이상 어미나무는 한 세기 만에 90% 가까이 난개발로 사라졌다. 인간이 외경심을 잃은 나무는 도로 건설과 재개발의 장애물일 뿐이었다. 일부만 천연기념물과 보호수로 지정돼 있지만 예산 부족으로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나무가 허다하다고 한다.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