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T 환경뉴스 2025년 8월19일 (화) 제1674호
페이지 정보
본문
BGT 환경뉴스 2025년 8월19일 (화) 제1674호
사무처 주요일정
1. 9.27 환경정의행진 회의
2. 글로벌 청년 SDGs(지속가능한 개발 목표) 캠프'
3. 오륙도 승두말 일원 생태교란종 조사
오늘의 환경뉴스
1. "지금도 늦지 않았다, 황령산 난개발 백지화하라!"
2.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위기에도 순서가 있던가?
3. 서울시 생태계교란종 배스·가시박 관리…시의회 조례 발의
4. 가덕도신공항, 현건 이어 포스코이앤씨 이탈로 다시 ‘적신호’
5. 기후위기 대응, 탄소만 보면 길을 잃는다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위기에도 순서가 있던가?
어쩌면 그냥 흘러가는 작은 뉴스 하나인지도 모르겠다. 어느 기사에 포함된 환경부 직원의 "(김 장관이) 국립공원 등의 동식물 생존권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서식지 보호를 열심히 한들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재생에너지를 통한 기후위기 대응이 먼저라는 것이어서 해법상 우선순위가 다른 것일 뿐”이라는 해명 말이다.
그런데 이 내용이 엄청/무지하게 거슬린다. 언뜻 들으면 타당한 말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이게 환경부 관계자 발언이라서 문제다.
우선 환경부 직원의 인식이 희안하다. 사실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위기'는 따로 떼어놓을 수 없는 동전의 양면이다. IUCN, IPBES, 그리고 IPCC, 그리고 뭐 동원할 수 있는 국제사회에서 공신력 인정받는 혹은 국내 전문가 진영 모두가 이 2개의 위기는 서로 악순환을 반복하는 관계로 규정했다. 기후변화는 생태계 붕괴를 가속화하고, 훼손된 생태계는 탄소 흡수 능력을 잃어 기후위기를 심화시킨다. 따라서 두 위기 대응은 순위/선택 대응이 아니고 동시에 통합적으로 대응해야만 한다.
더 큰 문제는 환경부 관계자의 이러한 발언이 시장/현장에서 잘못된 신호로 해석될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말이라고 하는 것이 본디 '아 다르고 어 다르지만', 세상에서는 그렇게 맥락과 상황을 따져서 듣지 않는다. 저런 '우선 순위' 운운하는 발언은 '재생에너지 보급을 명분 삼아 보호지역이나 국립공원 훼손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정당화 시킬수 있다.
첨부파일
-
BGT 환경뉴스 2025년 8월19일 화 제1674호.pdf (321.0K)
1회 다운로드 | DATE : 2025-08-19 12:32:26
-
- 이전글
- BGT 환경뉴스 2025년 8월20일 (수) 제1675호
- 25.08.20
-
- 다음글
- BGT 환경뉴스 2025년 8월18일 (월) 제1673호
- 25.08.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