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몰제 위기 '이기대·청사포공원' 난개발 제동
페이지 정보
본문
속보=부산의 대표적 수변공원으로 시민들의 사랑 받는 이기대와 청사포공원에 대한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 제안(본보 5월 30일 자 10면 등 보도)이 반려됐다.
부산시는 10일 오후 열린 라운드테이블에서 남구 이기대공원과 해운대구 청사포공원에 대한 민간사업자의 제안은 반려, 북구 덕천공원에 대한 제안은 조건부 수용됐다고 밝혔다. 청사포공원과 이기대공원에 각 3건의 민간사업 제안서가 접수됐지만, 시민의 공공자산인 이곳 공원들을 개발하게 될 경우 부작용이 너무 크다는 여론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이기대공원에 대한 4870세대 규모의 아파트 건설 제안의 경우 일반 주거시설의 자제를 권고한 부산시의 가이드라인과도 맞지 않아 이미 권고사항 위배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민간공원 특례사업 제안
부산시 "부작용 크다" 반려
덕천공원은 조건부 수용
라운드테이블에 참여 중인 한 위원은 "이기대와 청사포의 경우 주민은 물론 시민단체와 전문가가 입을 모아 공원으로 지켜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반려가 결정될 수밖에 없는 지역이었다"며 "부산시가 공원 일몰제가 시행되는 2020년 이전에 예산을 확보해 주요 부지부터 차례로 매입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주민들의 사업 찬성 여론이 높았던 덕천공원의 경우 문화재인 구포왜성을 보전하기 위해 이보다 층고가 높지 않은 선에서 개발하는 쪽으로 민간사업자의 제안이 조건부 수용됐다. 또 이보다 일주일 앞서 열린 라운드테이블에서는 1차 공고 대상 공원 중 부산진구 화지공원과 기장군 봉대산공원에 대한 사업 제안이 반려됐다. 동래구 온천공원은 조건부 수용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부산의 한 공원녹지 전문가는 "동래 정씨 시조 선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배롱나무이자 천연기념물 168호 '부산진 배롱나무'가 있는 화지공원의 경우 정씨 문중의 동의만 있다면 보전할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보전녹지나 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하는 방법, 공원으로 재지정 하는 방법, 녹화계약제도 등의 대안을 제안하고 싶다"고 밝혔다.
민간공원조성 특례는 오는 2020년 공원 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해제 위기에 놓인 공원 면적의 70%라도 보존하기 위해 30%의 개발을 허용하는 취지의 제도다. 올 4월 마감된 1차 공고 대상 공원 8곳 중 6곳에 대해 총 15건의 제안서가 접수된 바 있다. 공원별로 △온천공원 5건 △이기대공원 3건 △청사포공원 3건 △화지공원 2건 △봉대산공원 1건 △덕천공원 1건이 접수됐지만, 이기대와 청사포 등 4개 공원의 경우 개발 반대 목소리가 높았다. 청사포공원은 12~35층 규모의 관광·생활숙박 시설과 리조트 건설이 제안됐고, 이기대공원은 6~12층 규모의 호텔·콘도와 관광호텔·생활숙박 시설 등이 제안돼 논란을 빚었다. 이자영·김준용 기자 2young@
-
- 이전글
- 부산 민간공원 특례사업 여부 연내 확정
- 17.07.12
-
- 다음글
- 여의도 3배 인공숲 만든 회장님… "200만그루 모두 자식같아요"
- 17.07.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