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유원지도 일몰제, 난개발 방지책 시급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는 2020년 일몰제로 공원뿐만 아니라 부산시내 대규모 유원지들도 난개발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하지만 부산시는 공원과는 달리 유원지에 대해서 매입 등 뾰족한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어 답답한 노릇이다. 더욱이 일몰제가 예고된 지 20년이 지나도록 재원 마련에 손을 놓은 부산시의 무기력 행정이 난개발을 부추기는 꼴이다. 황령산유원지, 산성유원지, 동백유원지 등 상당수 유원지는 공원 못지않게 시민들이 많이 찾는 휴식처로 보존 가치가 충분히 있는 곳들이다.
부산시 주요 유원지들의 사유지 비율이 80%나 돼 일몰제가 적용될 경우 개발 광풍이 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부산시에 따르면 시내 14개 주요 유원지 2265만 2687㎡ 중 80.4%인 1823만 3814㎡가 사유지라고 한다. 특히 개발업자들이 오래전부터 눈독을 들여 온 황령산유원지는 전체 570만㎡ 중 559만㎡(98.0%)가 사유지이며, 해운대 바다를 끼고 있는 동백유원지도 2만 5060㎡ 중 1만 2212㎡(48.7%)가 사유지로 나타났다.
유원지로 지정돼 있을 경우엔 호텔 등 수익시설을 짓기 위해서는 시 공원운영위원회 등의 심의를 거쳐야 하지만 도시계획시설 지정 해제 땐 건축 행위가 매우 쉬워지게 된다. 주로 자연녹지로 지정될 것으로 보이는 유원지에는 건폐율 20% 이하의 주택, 4층 이하의 주거시설도 건축이 가능해진다. 황령산·산성·동백섬 등 천혜의 경관을 지닌 유원지에 대한 개발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문제는 난개발이 뻔한데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시는 일부 유원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지정돼 있고 전체가 자연녹지라 개발이 어려운 곳도 있어 땅 활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다. 이는 자본의 속성을 전혀 모르는 한가한 소리가 아닐 수 없다. 자본은 조그만 빈틈만 생겨도 파고들어 이윤 극대화를 꾀한다는 건 경험법칙이 아닌가. 부산시는 지금이라도 유원지 난개발 방지 종합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부산시 주요 유원지들의 사유지 비율이 80%나 돼 일몰제가 적용될 경우 개발 광풍이 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부산시에 따르면 시내 14개 주요 유원지 2265만 2687㎡ 중 80.4%인 1823만 3814㎡가 사유지라고 한다. 특히 개발업자들이 오래전부터 눈독을 들여 온 황령산유원지는 전체 570만㎡ 중 559만㎡(98.0%)가 사유지이며, 해운대 바다를 끼고 있는 동백유원지도 2만 5060㎡ 중 1만 2212㎡(48.7%)가 사유지로 나타났다.
유원지로 지정돼 있을 경우엔 호텔 등 수익시설을 짓기 위해서는 시 공원운영위원회 등의 심의를 거쳐야 하지만 도시계획시설 지정 해제 땐 건축 행위가 매우 쉬워지게 된다. 주로 자연녹지로 지정될 것으로 보이는 유원지에는 건폐율 20% 이하의 주택, 4층 이하의 주거시설도 건축이 가능해진다. 황령산·산성·동백섬 등 천혜의 경관을 지닌 유원지에 대한 개발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문제는 난개발이 뻔한데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시는 일부 유원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지정돼 있고 전체가 자연녹지라 개발이 어려운 곳도 있어 땅 활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다. 이는 자본의 속성을 전혀 모르는 한가한 소리가 아닐 수 없다. 자본은 조그만 빈틈만 생겨도 파고들어 이윤 극대화를 꾀한다는 건 경험법칙이 아닌가. 부산시는 지금이라도 유원지 난개발 방지 종합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
- 이전글
- 삭막한 도심에 초록 쉼터 만드는 우리는 '도시의 가위손'
- 17.07.24
-
- 다음글
- 부산 공원 이어 유원지도 일몰제 난개발
- 17.07.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