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공포도시'? 일몰제 예산안 '0원' 시민·환경단체 규탄
페이지 정보
본문
부산시가 내년도 예산안에 공원일몰제 시행으로 해제되는 토지 보상비를 사실상 한 푼도 배정하지 않은 것(본보 지난 10일 자 2면 보도)과 관련해 시민·환경단체들이 규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부산의 시민·환경단체들은 시의 이 같은 예산안 편성을 '제2의 신고리 5·6호기 사태' 수준으로 규정하고, 연대를 통한 규탄 활동을 전개할 것을 예고했다.
시는 지난 9일 10조 7927억 원 규모의 2018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발표하면서 공원일몰제 해제 대상인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과 관련한 예산은 기타 특별회계에 191억 원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올해 초부터 공원일몰제에 대비해 토지 보상비로 2018년부터 3년에 걸쳐 매년 600억 원씩 모두 1892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첫해부터 계획이 무산된 것이다.
시민·환경단체들은 현재 시 행정은 부산을 '공포도시(공원을 포기한 도시)'로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산그린트러스트 이성근 사무처장은 "공원이 난개발될 때 발생하는 숱한 사회적 비용과 시민들의 상실감에 대해 시는 심각성을 모르고,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며 "부산의 여러 단체들이 힘을 모아 규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그린트러스트는 이달 중순 전국의 공원 전문가와 환경단체 관계자 등을 초청해 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또 지역의 사진작가들과 연대해 영원히 잃어버릴지도 모를 부산 공원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는 작업도 진행해 시민들의 관심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 최수영 사무처장은 "시가 당초 제시한 1800억 원이라는 예산도 부산의 공원 현황을 살펴봤을 때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었다"면서 "이마저도 확보하지 않으면서 부산시장이 '지주들을 설득하면 된다'는 식의 태도를 보이는 건 시민들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의 시민·환경단체들은 시의 이 같은 예산안 편성을 '제2의 신고리 5·6호기 사태' 수준으로 규정하고, 연대를 통한 규탄 활동을 전개할 것을 예고했다.
시는 지난 9일 10조 7927억 원 규모의 2018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발표하면서 공원일몰제 해제 대상인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과 관련한 예산은 기타 특별회계에 191억 원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올해 초부터 공원일몰제에 대비해 토지 보상비로 2018년부터 3년에 걸쳐 매년 600억 원씩 모두 1892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첫해부터 계획이 무산된 것이다.
시민·환경단체들은 현재 시 행정은 부산을 '공포도시(공원을 포기한 도시)'로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산그린트러스트 이성근 사무처장은 "공원이 난개발될 때 발생하는 숱한 사회적 비용과 시민들의 상실감에 대해 시는 심각성을 모르고,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며 "부산의 여러 단체들이 힘을 모아 규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그린트러스트는 이달 중순 전국의 공원 전문가와 환경단체 관계자 등을 초청해 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또 지역의 사진작가들과 연대해 영원히 잃어버릴지도 모를 부산 공원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는 작업도 진행해 시민들의 관심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 최수영 사무처장은 "시가 당초 제시한 1800억 원이라는 예산도 부산의 공원 현황을 살펴봤을 때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었다"면서 "이마저도 확보하지 않으면서 부산시장이 '지주들을 설득하면 된다'는 식의 태도를 보이는 건 시민들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글
- 10. 공원일몰제, 도시공원의 미래 여는 계기로
- 17.11.16
-
- 다음글
- [공원일몰제, 도시공원이 사라진다] 9. 민간자본에 의한 공원 조성, 올바른 대안인가?
- 17.11.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