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확보도 자체 대책도 없는 부산시, 공원 포기했나"
페이지 정보
본문
시민·환경단체, 시청서 기자회견
▲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와 부산그린트러스트 회원들이 15일 부산시청 앞에서 공원일몰제 예산 편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국비 확보도 자체 대책도 없는 부산시, 공원 포기했나"
- 받는 분(send to)
- 이름(Name)
- e-메일(E-mail)
- 보내는 분(from)
- 이름(Name)
- e-메일(E-mail)
- 전하고 싶은 말

속보=부산시가 내년도 예산안에 공원일몰제 시행에 따른 토지 보상비를 한 푼도 배정하지 않은 것(본보 10일 자 2면 등 보도)과 관련해 부산의 시민·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와 부산그린트러스트는 15일 오전 10시 부산시청에서 공원일몰제 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1999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공원일몰제가 예고됐지만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부산시는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노력이나 자체적인 대책 수립을 고민한 바가 없다"며 "민간공원 특례사업과 뉴스테이 사업의 동반 진행으로 인해 부산의 공원과 산, 녹지의 붕괴는 급속도로 진행될 것이다"고 밝혔다.
연대 측은 "공원일몰제에 따른 토지보상비로 시가 3년간 1800억 원을 편성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시민사회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임에도 이를 최소한의 성의로 받아들였다"면서 "하지만 예산 편성이 한 푼도 안 된 지금의 현실은 '공포(공원을 포기한)도시 부산'을 예고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연대는 또 "토지 소유주와 소통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서병수 부산시장의 이야기는 시민사회의 코웃음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비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와 부산그린트러스트는 15일 오전 10시 부산시청에서 공원일몰제 대책 수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1999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공원일몰제가 예고됐지만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부산시는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노력이나 자체적인 대책 수립을 고민한 바가 없다"며 "민간공원 특례사업과 뉴스테이 사업의 동반 진행으로 인해 부산의 공원과 산, 녹지의 붕괴는 급속도로 진행될 것이다"고 밝혔다.
연대 측은 "공원일몰제에 따른 토지보상비로 시가 3년간 1800억 원을 편성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시민사회는 턱없이 부족한 예산임에도 이를 최소한의 성의로 받아들였다"면서 "하지만 예산 편성이 한 푼도 안 된 지금의 현실은 '공포(공원을 포기한)도시 부산'을 예고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연대는 또 "토지 소유주와 소통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서병수 부산시장의 이야기는 시민사회의 코웃음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비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
-
- 이전글
- "공원일몰제 시행 시기 뒤로 미뤄야"
- 17.11.22
-
- 다음글
- 10. 공원일몰제, 도시공원의 미래 여는 계기로
- 17.11.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