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언론보도

안동동 회화나무의 변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456회 작성일 17-12-10 10:58

본문

2017-12-02 16;12;34.JPG

{앵커:삭막한 도심에서 나무 한그루는정서적인 위로까지 줍니다.

특히 수백년 된 고목이면 효과는 더 하지만, 문제는 도시화 과정에서 대부분 베어져 사라졌습니다.

이와관련해서 4년 전 KNN은 노거수 문제를 집중 조명했는데, 이후 구청과 주민들의 노력으로 고목을 지켜낸 곳이 있어 화제입니다.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동래구의 한 주택가

수령 250년의 보호수를 주택들이
애워싸 접근조차 쉽지 않습니다.

주민들은 나무가 썩어 냄새가 심하고
슬럼화됐다며 대책을 호소했습니다.

{보호수 인근 주민(2013년)/”(이 나무로)빈집 생기죠.(나뭇잎이 썩어서)냄새나죠. 둘 중 하나는 해줘야죠. 나무를 처리(벌목)해 주든가,아니면 이 지역을 공원화 하든가…”}

KNN 보도 이후 4년이 지난 지금
주민들의 바람은 현실이 됐습니다.

보호수를 애워싼 건물 4동이 철거
됐고, 지반도 생육환경에 맞게
조성됐습니다.

{이성근/부산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과거에는) 투수층도, 물을 머금을 수 있는 층도 매우 협소했고 그런데 지금 개방이 되면서 공간들이 확대됐잖아요. (보호수) 삶의 질이 훨씬 개선됐다…”}

보호수 쉼터 조성에는 부산시와 동래구 예산 11억원이 투입됐습니다.

“이곳은 재개발구역이여서 토지매입 보상이 쉽지 않은 곳입니다.

하지만 행정기관이 건물주들을 끈질기게 설득한 결과 보호수가 있는 이곳은 녹지공간으로 남게 됐습니다.“

그동안 구*군에서는 예산난으로 토지
보상에 엄두도 못냈지만 지난 2015년 보호수 조례가 제정되면서 시비 지원이 가능해 진 것입니다.

{안철수/부산시 도시녹화팀장/”2015년에 보호수 관리 조례라는 것이 만들어지면서 토지 보상비 50%를 시에서 지원하도록 하는 법령이 있어서…” }

지금까지 정비된 보호수는 모두
5그루, 부산시는 앞으로 관리실태가
심각한 21그루도 순차적으로 쉼터나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