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언론보도

"정부는 헛발질 말고 미세먼지 권한 넘겨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770회 작성일 18-01-26 09:51

본문

서병수 부산시장이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미세먼지 문제를 지자체에 일임하면 중앙정부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게 비판의 골자.
 
일각에서는 미세먼지 해결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 보존에 예산을 사실상 한 푼도 배정하지 않았던 서 시장이 이 같은 입장을 취하는 건 '적반하장'이라고 꼬집었다.
 
서병수 시장, 해수부 비난
환경단체 '적반하장' 비판  
"공원일몰제 대책 관련  
예산 한 푼 배정 않으면서"
 

서 시장은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미세먼지 대책과 관련해) 정부가 헛발질 하느니 차라리 지역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부산시가 나설 테니 권한을 넘겨달라고 해도 정부는 여전히 복지부동"이라고 밝혔다. 

서 시장은 "부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44.5%는 선박, 항만에서 기인하는데 해양수산부는 늑장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 같은 서 시장의 발언에 시민·환경단체들은 공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미세먼지 저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 보존에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탓이다. 

시는 올해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일반회계에 공원일몰제 대책과 관련한 예산을 한 푼도 반영하지 않았다. 기타 특별회계에 191억 원이 배정됐을 뿐이다.

부산의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부산을 공포(공원포기) 도시로 만든 장본인이 미세먼지 저감 정책 운운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비난했다.

부산대 김동필(조경학과) 교수는 "도시공원에 조성된 나뭇잎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한다"며 "도시 숲 1㏊는 연간 168㎏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을 흡수하니 이는 사회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뒤늦게 공원일몰제 추경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정확한 액수는 논의를 해봐야겠지만 장기미집행 시설 매입 항목으로 추경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안준영·김준용 기자 jyou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