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많고 탈많았던 ‘경기도 반려동물 테마파크’ 4월 착공
페이지 정보
본문
경기도 반려동물 테마파크가 산림훼손 및 난개발 우려, 인근 주민들과의 마찰 등 우여곡절 끝에 오는 4월 착공된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6일 경기도청에서 반려동물 테마파크가 들어서는 여주시, 사업 참여 민간사업자와 3자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도는 4월 착공해 내년 5월께 완공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총 550여억 원이 투입되는 반려동물 테마파크는 여주시 상거동 16만5천여㎡ 부지에 공공구역(9만5천여㎡)과 민간구역(7만여㎡)으로 나눠 조성된다.
도가 358억 원을 투자해 직접 개발하는 공공구역에는 유기견 1천여 마리를 상시 보호하고 연간 1만여 마리의 유기견을 분양할 ‘유기견 보호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 청소년 인성교육 및 반려동물 전문가 양성교육 등을 진행할 ‘반려문화센터’도 꾸며진다.
민간업체 컨소시엄이 200여억 원을 들여 조성ㆍ운영하는 민간구역에는 애견과 반려인이 함께 쉴 수 있는 12실 규모의 숙박시설과 100여 면으로 이뤄진 캠핑장, 반려동물 공원, 동물병원 등이 들어선다.
특히 인근 주민들의 반대가 계속돼왔던 소규모 반려동물 화장장과 추모시설도 갖추게 된다.
민간구역 개발은 당초 코오롱글로벌 자회사인 네이처브리지를 대표사로 한 네이처브리지 컨소시엄이 담당하기로 했으나, 네이처브리지 등 일부 업체가 컨소시엄에서 빠짐에 따라 KT스카이라이프가 대표사를 맡고 모두 6개 업체가 참여하는 펫토피아컨소시엄이 담당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컨소시엄참여사 변동, 도시계획변경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완공 시기가 다소 늦어지게 됐다”며 “내년 5월 완공을 목표로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도와 여주시, 민간사업자가 모두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 2015년 5월 남경필 도지사와 애견인 등의 간담회에서 반려동물 안락사 방지 및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테마파크 조성을 건의함에 따라 테마파크 조성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산림훼손 및 난개발 등을 이유로 개발면적 부지를 축소하라는 한강유역환경청의 요구가 지속하는데다 인근 주민들과의 마찰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며 민선 6기 내 추진이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220 경기일보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6일 경기도청에서 반려동물 테마파크가 들어서는 여주시, 사업 참여 민간사업자와 3자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도는 4월 착공해 내년 5월께 완공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총 550여억 원이 투입되는 반려동물 테마파크는 여주시 상거동 16만5천여㎡ 부지에 공공구역(9만5천여㎡)과 민간구역(7만여㎡)으로 나눠 조성된다.
도가 358억 원을 투자해 직접 개발하는 공공구역에는 유기견 1천여 마리를 상시 보호하고 연간 1만여 마리의 유기견을 분양할 ‘유기견 보호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 청소년 인성교육 및 반려동물 전문가 양성교육 등을 진행할 ‘반려문화센터’도 꾸며진다.
민간업체 컨소시엄이 200여억 원을 들여 조성ㆍ운영하는 민간구역에는 애견과 반려인이 함께 쉴 수 있는 12실 규모의 숙박시설과 100여 면으로 이뤄진 캠핑장, 반려동물 공원, 동물병원 등이 들어선다.
특히 인근 주민들의 반대가 계속돼왔던 소규모 반려동물 화장장과 추모시설도 갖추게 된다.
민간구역 개발은 당초 코오롱글로벌 자회사인 네이처브리지를 대표사로 한 네이처브리지 컨소시엄이 담당하기로 했으나, 네이처브리지 등 일부 업체가 컨소시엄에서 빠짐에 따라 KT스카이라이프가 대표사를 맡고 모두 6개 업체가 참여하는 펫토피아컨소시엄이 담당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컨소시엄참여사 변동, 도시계획변경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완공 시기가 다소 늦어지게 됐다”며 “내년 5월 완공을 목표로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도와 여주시, 민간사업자가 모두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 2015년 5월 남경필 도지사와 애견인 등의 간담회에서 반려동물 안락사 방지 및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위한 테마파크 조성을 건의함에 따라 테마파크 조성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산림훼손 및 난개발 등을 이유로 개발면적 부지를 축소하라는 한강유역환경청의 요구가 지속하는데다 인근 주민들과의 마찰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며 민선 6기 내 추진이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220 경기일보
-
- 이전글
- 지방분권…시민 힘으로 <6> 환경 분권
- 18.02.22
-
- 다음글
- 880년 된 은행나무·강감찬 나무가 숨 쉬는 동네
- 18.02.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