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땅도 확보 않고 부설 특수학교 추진
페이지 정보
본문
부산대, 땅도 확보 않고 부설 특수학교 추진
- 받는 분(send to)
- 이름(Name)
- e-메일(E-mail)
- 보내는 분(from)
- 이름(Name)
- e-메일(E-mail)
- 전하고 싶은 말

속보=부산대가 부지 확보도 하지 않은 채 교육부 학교 건립 사업을 신청한 뒤, 금정산 자락 임야에 대해 근린공원 지정 해제를 추진(본보 지난 10일 자 1·3면 보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의 진산인 금정산을 훼손하는 일임에도 일단 예산부터 따고 보자는 식의 무책임한 행태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교육부는 특수교육과가 있는 국립대학 안에 특수학교를 건립하는 사업 추진을 위해 오는 18일까지 예산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 사업에는 전국에서 특수교육과가 있는 6개 국립대학 중 공주대와 부산대가 참여했다. 그러나 부산대는 특수학교 건립을 위한 부지도 확보하지 않은 채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 지을 땅도 없으면서 학교를 지을 예산을 정부에 신청한 것이다.
"교육부 예산 확정되면
학교 소유 금정산 개발 논의"
범시민금정산보존회 등
"근린공원 지정 해제
학교 땅 키우려는 의도"
이번 사업과 관련해 교육부 특수학교설립 담당자는 "부지를 확보하는 문제는 부산대가 해야 할 일"이라고 분명히 못 박았다. 부산대와 특수학교 개교에 대한 MOU 협약을 체결한 부산시교육청도 "부산시교육청은 특수학교가 설립되면 운영을 약속했을 뿐 부지확보는 부산대의 역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부산대 김재식 캠퍼스기획과장은 "사업이 구체화하면 근린공원 해제를 두고 부산시와 협상에 나설 것"이라며 "부산에 특수학교는 필요하고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에 건물과 땅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부산대가 가지고 있는 금정산을 개발하려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 과장은 "우선 예산이 확정되면 공청회 등을 통해 금정산을 아끼는 환경단체들과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대는 '부산에 특수학교를 지을 곳이 없어 부산대가 이를 유치한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평지에 위치한 학내 건물이 아닌 금정산 속에 특수학교를 밀어넣는 것이야말로 교육부의 특수학교 건립 취지에 위반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 때문에 결국 부산대가 특수학교 설립이라는 공익성을 지렛대 삼아 금정산 근린공원 부지를 모두 해제한 뒤 개발하려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부산대학교는 금정산 근린공원 해제 신청 규모를 특수학교 부지(1만㎡)만큼만 할지, 그 이상으로 할지도 아직 정하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부산대 교수는 "부산대 총장이 눈에 보이는 성과인 건물을 짓고 학교 땅을 키우는 것에만 과하게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범시민금정산보존회 유진철 생태국장은 "부산대는 투자를 통해 부지를 마련할 생각은 하지 않고 '저렴한 땅'이라는 이유로 수십 년간 금정산을 파괴하면서 건물을 지어 왔다"면서 "결국 부산대가 투자를 외면한 학교 주변에는 아파트와 상업시설만 대거 들어섰다"고 지적했다.
조소희 기자 sso@busan.com
교육부는 특수교육과가 있는 국립대학 안에 특수학교를 건립하는 사업 추진을 위해 오는 18일까지 예산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 사업에는 전국에서 특수교육과가 있는 6개 국립대학 중 공주대와 부산대가 참여했다. 그러나 부산대는 특수학교 건립을 위한 부지도 확보하지 않은 채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 지을 땅도 없으면서 학교를 지을 예산을 정부에 신청한 것이다.
"교육부 예산 확정되면
학교 소유 금정산 개발 논의"
범시민금정산보존회 등
"근린공원 지정 해제
학교 땅 키우려는 의도"
이번 사업과 관련해 교육부 특수학교설립 담당자는 "부지를 확보하는 문제는 부산대가 해야 할 일"이라고 분명히 못 박았다. 부산대와 특수학교 개교에 대한 MOU 협약을 체결한 부산시교육청도 "부산시교육청은 특수학교가 설립되면 운영을 약속했을 뿐 부지확보는 부산대의 역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부산대 김재식 캠퍼스기획과장은 "사업이 구체화하면 근린공원 해제를 두고 부산시와 협상에 나설 것"이라며 "부산에 특수학교는 필요하고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에 건물과 땅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부산대가 가지고 있는 금정산을 개발하려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김 과장은 "우선 예산이 확정되면 공청회 등을 통해 금정산을 아끼는 환경단체들과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대는 '부산에 특수학교를 지을 곳이 없어 부산대가 이를 유치한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평지에 위치한 학내 건물이 아닌 금정산 속에 특수학교를 밀어넣는 것이야말로 교육부의 특수학교 건립 취지에 위반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 때문에 결국 부산대가 특수학교 설립이라는 공익성을 지렛대 삼아 금정산 근린공원 부지를 모두 해제한 뒤 개발하려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부산대학교는 금정산 근린공원 해제 신청 규모를 특수학교 부지(1만㎡)만큼만 할지, 그 이상으로 할지도 아직 정하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부산대 교수는 "부산대 총장이 눈에 보이는 성과인 건물을 짓고 학교 땅을 키우는 것에만 과하게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범시민금정산보존회 유진철 생태국장은 "부산대는 투자를 통해 부지를 마련할 생각은 하지 않고 '저렴한 땅'이라는 이유로 수십 년간 금정산을 파괴하면서 건물을 지어 왔다"면서 "결국 부산대가 투자를 외면한 학교 주변에는 아파트와 상업시설만 대거 들어섰다"고 지적했다.
조소희 기자 sso@busan.com
-
- 이전글
- 낙동강 생태계 파괴, 대저대교 건설 철회하라"
- 18.05.23
-
- 다음글
- [[부산대 금정산 부지 가 보니]
- 18.05.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