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후보에 전달… 6·13 선거 11개 '시민 공약' 채택
페이지 정보
본문
27일 부산 부산진구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 다목적홀에서 열린 '부산시민사회 원탁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부산시장 후보들에게 전달할 부산의 현안과 정책에 대해 토론을 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환경을 위해 8개 다 중요한데 어떤 걸 고르죠?" "낙동강 먹는물 문제가 빠졌네요. 추가합시다!"
27일 오후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 다목적홀. 10여 개 원탁 테이블마다 시민들이 둘러앉아 토론에 여념이 없다. '시민주권과 시민정부 실현을 위한 부산시민회의'가 주최한 이날 행사는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민이 직접 분야별 정책을 채택해 시장 후보에게 제안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부산시민회의 '정책 제안'
시민 200명 참여 원탁회의
민국 설립·빈집 은행 등
득표순 11개 공약 도출
자체 8개 정책 더해 28일 제안
부산지역 시민사회 활동가와 일반 시민 등 200명이 참석한 이날 원탁회의는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눈 뒤 투표로 최종 결정하는 '타운홀' 방식으로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앞서 부산시민회의는 복지·건강, 도시재생, 사회적경제, 일자리·서민경제, 에너지·환경, 여성·가족, 문화관광축제, 청년, 지방자치·거버넌스, 교육 등 10개 분야에 걸쳐 105개 과제를 정리했다. 여기에 현장 참가자의 정책 제안을 더해 날 200여 개 공약을 놓고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환경·에너지분야에선 '미세먼지' 문제가 뜨거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동구 주민 김현정(39) 씨는 "미세먼지 마스크를 각 가정에서 구입하려면 부담된다"며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부산생명의숲 김성선 사무국장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개인에게도 환경부담금을 부과해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고, 자동차기업에는 전기차 20% 생산 의무화 등 특단의 부담을 지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교육 분야의 경우 "학교 주변 공장을 줄이고 운동 공간을 늘려 달라"는 초등학생 의견부터 "아이들의 꿈꿀 자유를 위해 중2 때까진 성적을 비공개하자"는 학부모의 제안 등 다양한 정책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2시간여 동안 원탁회의를 통해 30개 공약을 채택, 이를 놓고 다시 토론을 벌여 전체 투표에 부친 결과 4시간 만에 모두 11개 시민 공약이 탄생했다. 득표율 순으로 시민국 설립, 시민 모두를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빈집 종합관리를 위한 빈집 은행 설립,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창출, 재개발사업 사회적 통제와 투명성 확보, 청년·노인 공동체 공간 제공, 시민참여 토론광장 마련, 미세먼지 프리·숨 쉬는 부산, 공원일몰제 아웃·도시공원 보존, 사학법 개정과 사학비리 횡포 척결, 대형유통점 입점계획 단계부터 상권영향 조정 등이다.
숙의 과정을 거쳐 시민 스스로 만든 정책인 만큼 만족도도 높았다. 사회적경제 분야에 참가한 최민수(23·여) 씨는 "사회적기업을 다니며 실제 경험한 점을 정책에 반영할 수 있어 좋았다"며 "이런 토론회가 활성화돼 많은 시민이 참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행사 내내 열성적으로 함께한 박창빈(12·명진중 1) 군은 "직접 어른들과 토론해 보고 정책을 만들 수 있어 뜻깊은 경험이었다"며 "정치인들이 시민의 뜻을 받들어 제대로 실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민회의는 11개 시민 공약에다 시민협의회 신설 등 자체 8개 정책을 더해 28일 시장 후보들에게 전달하기로 했다.
이대진·최강호 기자 djrhee@busan.com
-
- 이전글
- ‘걷기 아시안게임’ 부산 유치…내년 10월 갈맷길서 열린다
- 18.05.29
-
- 다음글
- 소쩍새·솔부엉이… 부산 도시공원 둥지
- 18.05.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