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언론보도

새 시장 공원일몰제 대책 '오, 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176회 작성일 18-06-22 11:26

본문

DSC06724.jpg

오거돈 부산시장 당선인이 애초 기대와는 달리 '발등의 불'인 공원일몰제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아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덕도 신공항 추진, 부산국제영화제 지원 강화 등 이목을 쉽게 끌 정책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지만, 정작 시민의 삶과 밀접한 도심공원 문제는 일언반구도 없다는 지적이다.
 
"2년 뒤면 시행 '발등의 불'
당선인, 한마디 언급 없어"
 
부산 지역 환경·시민단체  
우려·불만 목소리 고조 

21일 2020 도시공원일몰제 대응 부산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과 부산시 등에 따르면 2020년 7월 공원일몰제가 시행되면 부산에서만 90곳, 총면적 38.5㎢에 해당하는 녹지에 각종 개발이 가능해진다. 부산시민공원의 81배에 달하는 면적의 녹지가 아파트나 호텔 등 각종 수익시설로 뒤덮일 수 있게 된다.

부산의 환경·시민단체로 구성된 시민행동은 6·13 지방선거에 발맞춰 부산시장 후보자들에게 공약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러 차례 여는가 하면 정책 질의서 등을 후보 캠프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시민행동 관계자는 "선거를 전후해 오거돈 캠프 쪽에서 공원일몰제와 관련한 문의를 해왔고, 시민행동 차원의 요구사항과 실현 가능한 정책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전달했다"며 "하지만 오 캠프는 이를 공약으로 채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예산 조달 문제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판단하고 오 캠프 측이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예산을 대폭 줄여 2차 공약 제안서를 보냈으나 여기에 대해서도 이렇다 할 답변이 없었다"며 "이처럼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서병수 부산시장 때 생긴 '공포도시'(공원을 포기한 도시)라는 오명을 이번에도 벗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행동은 오 당선인 측에 지방채를 발행해 사유지를 단계적으로 사들이고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을 통한 녹지 관리를 공약화할 것을 주문했다. 국·공유지를 일몰제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중앙정부를 설득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도 함께 제안했다. 

부산그린트러스트 이성근 사무처장은 "서울시가 공원일몰제 해결을 위해 1조 3000억 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한 것을 보면 환경단체들의 요구가 결코 무리한 것이 아니다"며 "오 당선인 인수위에 공원·녹지 관련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를 드러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