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언론보도

언론보도 목록
    ‘민간공원 조성 특례’ 본궤도 5곳의 민간공원 조성 특례 사업으로 부산에 부산시민공원 4배 넓이의 공원과 아파트 4300세대가 들어선다. 전체 면적에서 공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89%다. 2017년부터 추진된 민간공원 조성 특례사업이 드디어 올해 본격 시작된다. 협약 결과, 전체 대상 부지의 89%가 공원으로…
    최고관리자  2020-09-15  23219 
    “황령산, 부산의 허파 구실…도심 녹지 개발 대상 안돼” 29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 시민환경단체가 황령산 정상 케이블카·전망대 건설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부산 남구 황령산 정상에 케이블카와 전망대를 건설하는 것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반대하고 나섰다.부산녹색연합 등 22개 단체는 29일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
    최고관리자  2020-09-14  30513 
    오거돈 부산시장,"부산도시공원 사수입장 잊었나?"성토"황령산에 이미 전망대 3곳 있어 추가개발 웬말"부산의 중견건설사인 대원플러스건설이 추진중인 105미터 높이의 황령산 전망대.부산지역 환경단체가 부산의 허파를 훼손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사진=대원플러스건설 제공)부산의 중견건설사인…
    최고관리자  2020-09-14  23278 
    봄철 야산을 향기 짙은 하얀꽃으로 장식하는 아카시아나무는 원산지가 북아메리카다. 아까시나무라고도 불린다. 1910년대 국내에 처음 들어온 이것은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강한 번식력을 나타냈다. 이로써 토종나무들을 제치고 우리 숲을 거의 점령하다시피 했다. 숲 생태계에 일대 변화를 일으킨 셈이다. 한때 독초 소동을 빚었던 미…
    최고관리자  2020-09-14  23121 
    연합뉴스) 부산그린트러스트와 부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지난 5월부터 7개월간 양미역취 도심 분포 현황을 조사해 지도로 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 교란 식물 14종 중 하나인 양미역취는 불과 몇 년 사이 전국 곳곳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특히 낙동강 하구 일대를 점령하고 있다. 사진은 지도와 함께 제작한 양…
    최고관리자  2020-09-14  23411 
    지난 3일 문현금융단지에서 관찰된 양미역취. 개화 시기가 10월께지만 한겨울에도 개화를 했다. 부산그린트러스트 제공 낙동강 둔치를 잠식한 뒤 부산 도심까지 침투한 생태계교란 외래식물 양미역취의 분포를 추적한 지도가 처음으로 나왔다. 부산그린트러스트와 부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올 5월부터 지난 달까지 양미역취의 부산 도심 분…
    최고관리자  2020-09-14  30454 
    부산 영도구 흰여울길을 찾은 관광객들이 시원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무리를 지어 길을 걷고 있다. 관광객 뒤로 탁 트인 바다와 산 주변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집들이 정겨운 조화를 이룬다. ? 부산지하철 1호선 남포역 6번 출구로 나와 버스를 타고 영도대교 건너 이송도곡각지 정류장에 하차, 마을입구로 들어가면 가파른 절벽에 …
    최고관리자  2020-09-14  23703 
    한 해의 막바지에 할 말이 너무 많다. 해결하지 못한 일들이 발목을 붙들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밝혔듯이 도시공원 일몰제는 법령 개정 기회를 상실함으로써 이제 다른 탈출구가 없다. 따져 보면 국토부의 의도적 외면에다 20대 국회의 태만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힘이 되어 줄 것이라 믿고 공조했던 지방정부의 …
    최고관리자  2020-09-14  22930 
    은행연합회(김태영 은행연합회장)와 22개 회원사(광주은행, 기술보증기금, 수출입은행, 수협은행, 신용보증기금, 신한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한국씨티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 BNK경남은행, BNK부산은행, DGB대구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KDB산업은행, KEB하나은행, N…
    최고관리자  2020-09-14  23020 
    속보=BRT(간선급행버스체계) 공사로 부산시청 앞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거대 느티나무(부산일보 11월 18일 11면 보도)가 제자리를 지킬 수 있게 됐다.BRT공사로 철거 위기환경단체·시의회 제동시의회 주변 이식 ‘가닥’부산시는 19일 “부산시청 연산동 시대를 대표할 수 있고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느티나무를 시청 일대…
    최고관리자  2020-09-14  30051 
    공사 이후 차로 부족 해결위해 부산시 “해운대수목원으로 이식” 환경단체 “고사 우려” 반발 거세부산시청사 앞의 느티나무를 놓고 부산시와 환경단체가 정면 충돌했다. 시는 BRT(버스중앙차로제) 공사 이후 교통흐름에 방해가 될 수 있어 이식해야 된다는 입장이지만 환경단체는 나무의 ‘역사성’을 고려해 그대로 둬야 한다고 맞선다…
    최고관리자  2020-09-14  22951 
    부산시청 앞의 커다란 느티나무가 이식될 위기에 처하자 환경단체들이 금줄을 치며 반발하고 있다. 부산시청 앞에 있는 거대 느티나무가 석대수목원으로 이식될 위기에 처하자 환경단체들이 ‘금줄’을 묶고 결사반대에 나섰다. 부산시청 연산동 청사와 함께 식재된, 시대를 대표하는 느티나무를 존치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최고관리자  2020-09-14  29993 
    4대강사업의 잘못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삽질>(감독 김병기)이 부산에서 상영된다.생명그물 등 부산지역 환경단체들은 오는 19일 오후 4시 동래 롯데시네마에서 "영화 <삽질> 상영회, 감독과의 대화" 행사를 갖는다.이번 영화상영회는 부산환경회의,…
    최고관리자  2020-09-14  24693 
    양미역취 낙동강 생태공원을 잠식한 생태교란종 ‘양미역취’ 제거를 위해 부산시가 수천만 원을 투입해 정비 사업을 진행했지만, 뿌리째 뽑지 않아 시늉에만 그쳤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생태공원 잠식 ‘양미역취’ 정비뿌리째 제거 않고 풀베기 그쳐‘보여주기식’ 작업 예산 낭비 논란1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올 8월…
    최고관리자  2020-09-14  29488 
    그토록 염원했건만 희망이 안 보인다. 솔직히 도시공원 일몰 대응 의원발의 법 개정은 현재 국회의 난맥상 어려울 것으로 본다. 지난달 21일 몇 차례 연기됐던 국회 토론회를 열었지만 이렇다 할 성과물이 없었다. 회기 내 법안 소위에 매달리지만 전망은 밝지 않다. 국회 문턱서 먼지만 뒤집어쓴 대응 입법사실상 20대 국…
    최고관리자  2020-09-14  22452 

검색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