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공원 방문객 뚝…뚝…뚝
페이지 정보
본문
2014년 858만 → 2015년 793만 → 2016년 697만 명
- 개장효과 종료, 관 주도 한계
- 민간 참여형 모델 도입 지적
- 부산시설공단 "협치 확대"
53만 ㎡(16만 평)에 달하는 부산시민공원을 찾는 발걸음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방문객은 2014년보다 161만 명이나 줄었다. '개장 효과'가 사라진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공공기관의 '관리형 운영'이 한계에 봉착한 만큼 '민간 참여형 모델' 도입을 해법으로 제시한다.

9일 오후 부산시민공원을 찾은 시민들이 산책을 하고 있다. 지난해 시민공원 방문객은 697만 명으로 전년 793만 명보다 96만 명이 줄었다. 김성효 기자 kimsh@kookje.co.kr
부산시설공단은 지난해 697만 명이 부산시민공원을 방문했다고 9일 밝혔다. 2015년 방문객 793만 명보다 96만 명이 줄어든 것이다. 2014년 5월 개장한 이후 같은해 12월까지는 858만 명이 다녀갔다. 방문객은 계절별로 평일 2일과 주말 2일 동안 12곳의 CCTV를 분석해 추산한다. 부산시설공단은 개장 효과가 끝나 방문객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2014년의 경우 무더운 6~8월에도 347만 명이 방문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73만 명이 찾는 데 그쳤다. 여름에는 쉴 수 있는 그늘이 적은 것도 부산시민공원의 약점으로 꼽힌다.
부산그린트러스트 이성근 사무처장은 "주말에는 버스킹이나 돗자리 영화제와 같은 프로그램이 많은 반면 평일에는 직장인을 유인할 장치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경성대 강동진(도시공학과) 교수는 "부산시설공단이 공원 유지·관리를 잘하고 있지만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한 해 70억 원의 예산을 얼마나 시민 친화적으로 쓰고 있는지 점검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부산시민공원 관리단은 정원 20명 가운데 공연·전시 전문가(2명)와 조경·녹지 전문가(계약직 1명)가 상대적으로 적다.
전문가들은 공공과 민간의 협치를 바탕으로 한 운영 모델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지적한다. 뉴욕 센트럴파크는 지역민과 시민운동가가 참여한 '센트럴파크 컨서번시'가 운영·관리를 책임진다. 컨서번시가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내놓고 이용자들은 자발적인 기부로 운영비를 지원한다. 서울시도 지난해 11월 공모 절차를 거쳐 서울숲의 운영·관리를 '서울숲 컨서번시'에 맡겼다. 시민단체인 서울그린트러스트 내에 있던 '서울숲 사랑모임'이 전문 관리조직으로 선정됐다. 부산시민공원도 지난해 부산그린트러스트에 위탁해 '나는 마을과 도시의 정원사' '부산시민공원에서 풀에게 말을 걸자'와 같은 협치 프로그램을 시도했다.
부산시설공단 관계자는 "수목을 이식한 지 얼마 안 돼 아직은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앞으로 민관 협치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설] 부산시민공원 민관협치 새 운영 모델 만들자
부산시민공원 방문객이 격감하면서 민관 협치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운영 모델을 고민할 때라는 지적은 지극히 온당하다. 개장 첫해인 2014년 858만 명, 2015년 793만 명, 지난해 697만 명으로 2년 새 방문객이 170만 명 이상 줄었다. 물론 당장 줄어든 방문객 숫자에 일희일비할 일은 아니다. 수목이 자라야 하고, 사시사철 시민의 발길을 이끌 프로그램이 정착하기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차근차근 준비하자, 그 실마리를 민과 관이 함께 고민하면서 마련하자는 것이다.
도심 평지에 53만 ㎡ 규모 공원을 만든 힘의 원천은 시민이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100년 동안 이방인이 차지하고 있던 땅에 명품 공원을 만들어 부산 사람의 자존심을 곧추세우고자 했다. 그런 만큼 '기억·문화·참여·자연·즐거움'이란 다섯 가지 주제를 담은 부산시민공원은 끊임없이 재창조되어야 한다. 부산 시민의 땀과 열정과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그 밑거름이다. 2014년 5월 개장은 하드웨어가 갖춰졌다는 신호탄일 뿐이라는 이야기다.
부산시민공원 관리를 맡고 있는 부산시설공단이 '개장 효과가 끝났다'는 분석을 내놓았으니 지금이 민관 협치 논의의 적기다. 더는 '여름엔 덥고, 겨울엔 썰렁한 공원'이어선 곤란하다. 그동안 유지·관리엔 최선을 다했지만 창의적인 운영과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한 해 70억 원의 예산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쓰이고 있는지 조목조목 따져볼 필요가 있다. 부산시민공원은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원이기 때문이다.
이미 참고할 선례가 많다.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는 시민과 활동가가 참여한 '센트럴파크 컨서번시'가 운영·관리를 책임진다. 서울시도 지난해 11월 서울숲의 운영·관리를 '서울숲 컨서번시'에 맡겼다. 지난해 부산시민공원에선 부산그린트러스트가 협치 프로그램을 시도했다. 민관 협치의 일차적인 책임은 부산시에 있다.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고 열린 마인드로 이를 받아들이며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시민의 몫은 시민이 더 잘 알고 있다. 1.9 국제
-
- 이전글
- 공원 일몰제 대응- 부산시 사유지 최대30% 개발 허용 70% 보전 방안
- 17.01.16
-
- 다음글
- 서울그린트러스트 -서울숲컨서번시’
- 17.01.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