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언론보도

사지 절단돼 쫓겨난 500살 회화나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811회 작성일 23-02-17 12:38

본문

53e8bec9dc57d355ba3de0ae5c5143a1_1676604741_6148.jpg
2023
23일 부산 사상구 사상근린공원의 ‘500살 주례동 회화나무’. 재개발로 터전을 떠나 이식, 재이식되면서 가지와 뿌리가 대부분 제거돼 현재는 정상적 생육이 힘든 상태다. 김양진 기자

 

202323일 부산 사상구 감전동 사상근린공원 들머리. 모르고 보면 시커멓고 커다란 나무토막이 왜 공원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지 사연이 궁금할 것이다.

 

갈색 페인트로 덧칠했지만 숯이 된 몸통을 다 가리진 못했다. 그래도 회화나무의 특징인 세로로 촘촘하게 갈라진 수피(나무껍질)가 보였다. 이 나무토막의 정체는 사상구에서 가장 오래된 ‘500살 주례동 회화나무. 주례동이 재개발되면서 20192월 사지(나뭇가지와 뿌리)가 절단된 채 쫓겨났다. 20222월 주례동 바로 옆 감전동으로 돌아왔지만 귀향 뒤 몸통을 감쌌던 철제 틀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용접 불똥이 튀는 바람에 남아 있던 수간(줄기)마저 크게 훼손됐다. 나무에는 군데군데 도장지가 돋아 있었다. 도장지란 나무가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내뻗는 몹시 연약한 가지를 말한다.

 

재개발로 아파트 짓는다고 팔다리가 다 잘린 채 자기 고향 떠나서 3년 넘게 객지로 갔다가 다시 돌아온 게 2022228일이었죠. 건강하게 자라났으면 하고 고사를 준비했는데, 그만 불이 붙는 바람에.” ‘주례동 회화나무를 바라보던 강은수(75) 사상문화원 향토사 연구위원이 눈을 지그시 감았다.

 53e8bec9dc57d355ba3de0ae5c5143a1_1676604761_5949.jpg

2019년 초 부산 사상구 주례동 회화나무가 재개발공사 터에 자리잡고 있다. 웅장한 노거수가 자유분방하게 가지를 뻗었다. 회화나무는 겨울 나목의 모습도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로 옆 건물은 이 마을의 공동우물이다. 김동필 제공


마을 어르신 소줏병 놓고 기도드리던 나무

회화나무는 한때 키가 15m 넘고 가슴높이 둘레가 6.2m에 이르는 우람한 모습이었다. 회화나무 특유의 우상복엽(羽狀複葉·잎자루 양옆에 작은 잎이 짝을 이뤄 달리는 것)으로 그늘도 유난히 넉넉했다. 이제 키는 3m 남짓에 불과하다.

 

감전동에서 태어난 강은수 위원은 결혼한 누님이 살던 옆 동네 주례동을 오가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주례동은 과거엔 백양산 골짜기 아랫마을이라고 골새마을이라고 불렸다. 이 마을의 공동우물 앞에 당산나무(마을 수호신으로 모셔 제사를 지내주는 나무)주례동 회화나무가 터 잡고 있었다.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마을 할매 할배들이 나무 앞에 소주 한 병, 과일 한 그릇 바치고 소원 빌고 기도드리는 모습이 일상이었다. 부산·경남 일대 무당들도 때때로 찾았다. “안타깝게도 맨 처음에 누가 심었는지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요. 그래도 학자수라 부르는 회화나무를 마을 사람들이 매일 모이는 곳에 심은 것으로 볼 때 우리 마을에 똑똑한 아이들 많이 나와라라는 염원이었던 것 같아요.”(강은수 위원)

 


201810월 부산 사상구 주례동 재개발 공사53e8bec9dc57d355ba3de0ae5c5143a1_1676604839_1868.jpg가 진행 중인 가운데 건강한 생육 상태 (강은수)


오래전 크고 작은 위기도 있었다. 1901년 일본 민간 자본인 경부철도주식회사가 사설 철도인 경부선을 깔았다. 부산역에서 시작해 백양산을 동북쪽에 끼고 서울로 향하는 철길은 주례동 회화나무위를 지나가도록 계획돼 있었다. 주민들은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목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결국 30m가량 북쪽으로 올라간 곳에 지금의 경부선 철길이 놓였다.

 

주례동에서 나고 자란 송동준(68) 전 사상구의원은 경부선을 지도에서 보면 주례동 쪽으로 오면서 완만한 곡선이 아닌 직선 구간이 된 게 그때 어른들이 진정을 넣었기 때문이라고 해요. 어릴 때 어른들이 저 나무를 신()이라고 했어요. 해치면 사람이 죽는다고 그랬죠. 요즘 같은 정월 대보름쯤 새끼줄(금줄)에 고추·숯을 달아서 나무에 둘러놓았죠라고 말했다.

 

그 뒤 약 120년 만에 큰 위기가 또 찾아왔다. 2017년 주례동 일대에 재개발 공사가 본격화했다. ‘보호수지정이 안 된 탓에 땅 주인(재개발조합)이 마음대로 베어버려도 법 위반은 아닌 상황이었다. 201812월 뒤늦게 일부 주민과 시민단체가 움직였다. 이 노거수(나이 많고 큰 나무)의 존치를 위한 설계 변경등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하지만 재개발조합과 시공사 쪽은 완강했다. “존치하면 뿌리를 고려해 반경 20m가량을 보전해야 한다. 공사 지장이 우려된다”(2019127주례동 노거수 보존 방법 찾기 끝장 토론회’)는 논리였다.

 

트레일러에 맞춘다고 굵은 줄기 몽땅 잘라

2019년 설 연휴 다음날인 27, 재개발조합은 주례동 회화나무80떨어진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의 한 개인 농원에 임시(3년 기한)이식했다. 트레일러 크기에 맞춰 굵은 줄기는 몽땅 잘렸고 뿌리도 대부분 제거됐다.

 53e8bec9dc57d355ba3de0ae5c5143a1_1676604937_9472.jpg

2022228일 재개발로 고향에서 쫓겨났다가 3년 만에 돌아온 주례동 회화나무에 불이 붙었다. 철제 틀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용접 불똥이 튄 것이 원인이었다. 20192월 경남 진주의 한 농원으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가지와 뿌리가 대부분 잘려나간 뒤 몸체마저 불타 성한 곳이 없는 모습이 됐다. 케이엔엔(KNN) 방송 화면 갈무리


우리는 이식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으로 해당 조합이 노거수를 무식하게 처분하며 얻고자 했던 것이 아파트 시공상의 문제와 그로 인한 비용의 추가 부담 때문이란 것을 안다.”(2019214일 부산그린트러스트·부산환경운동연합 등 부산 지역 21개 시민단체 성명서)

 

임시 기한 3년이 지난 2022년 재개발조합 쪽은 돌연 주례동 회화나무를 되돌려받는 것에 난색을 보였다. ‘애초에 이식이 아니라 제거가 목적이었던 것 아니냐고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지적한다. 재개발조합 관계자는 구청에서 (나무) 인수를 요청해 (농원 쪽에) 넘겼다. (진주의 농원 쪽에) 매년 600만원씩 (‘주례동 회화나무에 대한) 관리비를 냈다. 아파트 시설물 설치가 이미 완료돼 공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부산 사상구청 담당자는 “20192월 진주로 이식될 땐 구청이 관여할 법적 근거가 없었지만, 이후 보호수가 아닌 노거수에 대해 구청이 관여할 조례가 20202월 제정됐다. 재개발조합 쪽이 주례동 회화나무인수 의사가 없다고 해 소유권을 이전받아 감전동 사상근린공원에 재이식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런데 이 터줏대감 나무의 귀향 첫날인 2022228, 뿌리를 지탱하던 철제 틀 해체 과정에서 용접 불똥이 몸뚱이에 옮겨붙었다. 소방장비도 없어 나무는 10여 분간 속수무책으로 타들어갔다. ‘환영행사때문에 왔던 촬영 카메라에 이 장면이 담겼고 행사는 취소됐다.

 

김동필 부산대 교수(조경학)는 지금 나무의 상태를 이렇게 진단했다.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상태다. 이식한다면서 비용을 최소한으로 책정해, 뿌리며 다 잘라냈다. 원래 수형이 완전히 사라졌다. 이식할 때 뿌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