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언론보도

부산그린트러스트 이사장 부산 마하사 주지 정산 스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491회 작성일 24-04-17 12:25

본문

부산 마하사 주지 정산 스님

수행도량 훼손 케이블카시민과 함께 저지할 것

dfa207450bd424642652de373b4821dc_1713324266_7551.jpg
 

마하사 주지 정산 스님은 불교 자주화를 지향하며 종법과 제도를 개선했으나 불교 정신과 충돌하는 법도 있다사회법과 제도를 따라가기보다는 율장에 입각해 문제점들을 보완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주영미 기자

부산의 황령산(荒嶺山·427m)은 도심을 감싸고 있다. 숲길 걷는 사람들에게 언제든 청량한 바람을 선사하는가 하면 도심 야경을 보려는 사람들에게도 천연의 달빛과 문명의 빛이 빚은 멋진 풍경을 안겨준다. 황령산에서 금련산으로 이어지는 산자락에 사찰 하나 앉아있다. 작지만 위대한 사찰마하사(摩訶寺). 대대적인 중창 불사(19651970)를 진행하던 중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했다는 기록이 쓰인 상량문을 대웅전에서 발견했다. 아쉽게도 그 상량문은 현재 찾을 수 없어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부산 최초의 사찰이라는 자긍심을 갖는 건 무리 없다.

 

부산 최고(最古)의 산사지만 불교 내외적으로의 역할에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런데 수년 전부터 불자들은 물론 일반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여성 독립군을 위한 천도재를 여는가 하면 명상 등을 적용한 체험형 웰니스프로그램 마하 위크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 도량에 새로운 활기가 생긴 건 정산(丁山) 스님이 주지로 취임하면서다.(2020)

 

춘천에서 태어났으나 서울에서 자라며 유년을 보냈다. 체질적으로 몸이 약했다. 장티푸스에 복막염까지 앓게 되면서 사선을 넘나들었다. 부모님의 소원이 살아만 달라였을 정도다. 체력을 키우지 않고는 생을 장담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는 서울 청량리의 한 체육관에서 중국 무술을 시작했다. 부드러우면서도 탄탄한 근육이 생기니 몸의 변화를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파주 보광사 주지 종진 스님과 인연이 있어 절에서 봉사활동 하며 불연이 닿았다. 절 안의 풍경이나 고즈넉함에 조금씩 매료되어 갔는데 언뜻언뜻 들려오는 법담도 좋았다. 어느 날, 범어사 청련암에서 정진 중이었던 적운(현 골굴사 주지) 스님이 체육관을 찾았다. 두 사람만의 짧은 담소가 있었다. 그날 밤 청년은 버스에 몸을 싣고는 범어사로 향했다. 훗날 선무도로 알려진 금강영관(金剛靈觀)’을 창안한 당대 불교 무술의 최고수 양익(兩翼·1934-2006) 스님과 마주했다.

 

서울에서 사범을 한다고?”

.”

깎아라!”

놀라운 일이었다. 당시 양익 스님은 제자를 쉬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단 6개월의 유발 행자 생활을 견뎌내야만 출가를 허락했다. 한 번 만나 보고 삭발하라고 한 건 파격이었다.

 

범어사 승가대학과 중앙승가대학을 졸업한 정산 스님은 범어사 기획실장, 조계종 중앙종회의원(14·15·16), 불교문화사업단장을 맡았으며 개운사, 모은암, 동명불원, 청련암 주지를 역임했다.

dfa207450bd424642652de373b4821dc_1713324292_8581.jpg
 

시민들의 호응 받는 마하위크 현장.

 

양익 스님은 엄하기로 정평 났다. 그렇지만 첫 만남에서 제자로 받아들였을 정도이니 애정이 남달랐을 법하다.

저라고 예외 없었습니다. 두 마디 이상 나눠 본 기억이 없을 정도입니다. ‘해라, 안돼, 하지마, 가거라하면 끝입니다. ‘왜 그런가 하면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신도님들에게는 한없이 자비스러우셨습니다. 무슨 얘기를 해도 끝까지 경청하셨습니다.”

 

범어사 강원에서 공부하면서도 청련암에서 무술을 익혔는데 이 또한 은사스님의 배려가 있었기에 가능했을 터다. 그런데 범어사 강원을 졸업한 그 날 은사스님과 제자의 결이 틀어졌다. 인사를 드리려 청련암을 찾았는데 은사 스님이 마당에 서 있기에 그 자리서 삼배를 올렸다.

“‘고생했다. 뭐 할래?’ 물으셨어요. 내심 청련암에서 정진하겠습니다라는 말을 기대하셨던 겁니다. 당시 저는 대학에서 한의학을 공부하고 싶었는데 그 말은 꺼내지 못하고 서울에 가서 공부하고 싶다고만 했습니다. 은사스님은 중 노릇 하는데 무슨 대학? 절에 있기 싫으니 별소리를 다 하는구나하셨습니다.”

 

당시만 해도 동국대 등의 일반 대학에 진학하면 환속한다는 우려가 있었다.

더 말씀드려도 소용없다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제 뜻을 굽힐 수는 없었습니다. 그날 밤 서울로 향하는 야간열차에 올랐습니다.”

 

한의학도의 꿈은 펼치지 못했다.

 

천축사에 머무르며 입시학원에 다녔습니다. 학원비 마련하느라 체육관에서 사범 일을 보았는데 결국 공양이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대중 생활을 하다가 혼자 밥을 먹으니 소화도 잘 안되었는데 규칙적이지도 않았습니다. 결국 탈장 수술을 받았습니다.”(1985)

 

건강을 다시 챙겼을 때 당시 중앙포교연구회의 핵심 멤버였던 원종(전 중앙승가대 총장) 스님을 만났다.

중앙승가대에서 불교 민주화 운동을 이어가자는 제안에 입학을 결정했습니다.”(1986)

 

정산 스님은 198010·27법난을 목도 했다. 다행히 군인들이 들이닥치기 전에 은사스님과 함께 몸을 피해 큰 화를 입지는 않았지만 신군부 독재 정권이 사회 정화라는 명분을 앞세워 한국불교를 탄압한 국가폭력을 두 눈으로 지켜보았다.

 

총무원장 월주 스님을 비롯한 조계종 대표 스님들이 강제 연행되어 조사받았습니다. 폭언, 폭행 등 인권유린이 자행된다는 얘기를 직접 전해 들었습니다. 수사 중간 발표를 통해 200억원을 부정 축재한 비리 집단으로 낙인을 찍어 놓고는 최종 수사 결과는 발표도 하지 않았습니다. 국민 눈에 불교가 어떻게 비추어졌겠습니까.”


dfa207450bd424642652de373b4821dc_1713324311_2249.jpg
 

마하사 전경.

 

1970년대 후반 일어난 민중불교 활동은 1980년대 초 불교개혁·사회변혁을 주창한 사원화 운동으로 발현됐다. 1979년 중앙승가학원으로 설립된 중앙승가대학도 시대의 아픔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에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학인스님들이 민중불교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불교 내의 개혁 목소리도 높였는데 중앙승가대(개운사)에서 열린 전국 청년승가 육화(六和) 대회가 대표적이다.(1981)

 

전직 승려라고 사칭한 명진홍 목사가 불교 법당은 귀신의 종합청사라는 비방 벽보를 부착한 사건이 발생하자 중앙승가대 학인스님들은 동국대 석림회와 함께 해인사 통도사, 범어사, 운문사, 봉녕사 등 전국 강원 학인 500명을 규합해 전국승가학인 연맹을 발족했다.(19 82) 1년 후엔 성연, 진우, 원종, 현관 스님이 승가대 학인스님들의 의식화 교육을 위해 중앙포교연구회를 결성했다.(1983)

 

정산 스님이 원종 스님의 중앙승가대 입학 권유를 흔쾌히 받아들인 건 10·27법난과 명진홍 목사의 훼불을 지켜보았기 때문이다. 원종 스님이 중앙포교연구회를 이끌던 1986년 정산 스님은 청화, 석용, 진원, 동화 스님과 함께 1년 동안 의식화 과정의 하나인 심화그룹 스터디를 진행했다.

 

스터디를 마친 스님들은 1학년 포교연구회 그룹을 지도하고, 1학년 스님들은 같은 학번 동기 스님들과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불교자주화와 사회민주화 기치를 내건 ‘9·7 해인사 승려대회(1986)’가 개최되는 결정적 역할을 한 건 중앙승가대였는데 중앙포교연구회의 역할이 컸다. 그사이 재가자 중심의 사회운동을 표방한 민중불교운동연합(1985), 불교정토구현전국승가회(1986)가 창립됐고 이어서 대승불교승가회(1988)가 출범했다. 인권과 통일, 노동, 환경에 역점을 두고 활동한 대승불교승가회는 주목을 받았으나 그해 6월 발생한 봉은사 사태로 와해 수순을 밟을 정도의 치명타를 입었다.

 

봉은사 사태는 종권을 둘러싼 당시 총무원 측과 봉은사 측이 벌인 갈등으로 10여 명의 스님이 크게 다친 사건이었다. 당시 3학년이었던 정산 스님도 연루됐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