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 20일 ‘2020 도시공원 일몰제 대응 부산시민행동’(준) 은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후보자에게 도시공원 일몰제 해소 공약채택을 촉구하는 시민일천인 선언을 가진 바 있다.
2. 예고한 바 대로 4월30일 (월)오후2시 ‘2020 도시공원 일몰제 대응 부산시민행동’ 결성 기자회견이 시청광…
|
|
지구의날 부산행사가 4.20~21 양일간 부산시청과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에서 시민 및 환경단체 관계자 등 5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였다. 행사는 부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 부산그린트러스트 . 2018 부산지구의날 조직위가 주관하였다.
21일 부산시민공원에서 있었던 다솜마당 환경부스 체험 행사에는 20여개 단체가 주제…
|
|
2018년 지구의 날 기념
부산지역 공원일몰제 문제 해소 1천인 시민선언
-6.13 지방선거 후보들은 공원일몰제 해결을 공약으로 채택하라-
이 봄날 초록으로 물든 도시공원을 본다. 생명의 기운 넘쳐 오르는 축복이다. 그 자체가 희망의 상징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희망을 송두리째 빼앗길 수 있다. 지…
|
|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후보자에게 도시공원 일몰제 해소 공약채택을 촉구하는 시민일천인 선언 기자회견이 20일(금) 오전 11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열였다.
지난 4월 16일 부산그린트러스트에서 연대체 결성 준비 모임을 가진 ‘2020 도시공원 일몰제 대응 부산시민행동(준)이 오는 30일 결성에 앞서…
|
|
|
|
제 5기 시민 가드너 양성 일반 프로그램
“ 마을과 도시의 정원사”
-정원에게 손을 내밀다 -
1. 사업의 목적
◦ 식물과 정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적인 능력을 갖추고, 정원문화 확산에 참여하여 지역사회 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게 함.
◦ 도심 경관과 지역 주변의 환경…
|
|
본 서명운동은 2020 도시공원일몰제 대응 전국시민행동의 주관하에 전국 동시다발 벌어지는 서명으로 20만명이 넘게되면 청와대 국민청원으로 연결됩니다. 누구라도 도시공원을 지키는 대열에 뜻을 샅이 하고 시다면 지금 클릭 부탁드립니다.
|
|
○일시: 2018년 4월16일(월)11:00
○장소: 부산그린트러스트 교육실
○논의내용: 연대체 이름 결정
연대체 조직형태 및 운영 집행단위 결정
…
|
|
유엔문화마을 골목정원 개장은 2017년 6월2일 부산시장방문과 함께 이루어 졌다. 주민들은 부산그린트트러스트가 주관한 가드닝 수업을 비롯하여 선진지 견학을 다녀왔고, 외부 지원그룹들과 더불어 총 8개의 골목을 정원화 하였다
❍ 추진현황
1. 2017년 사업 종료와 더불어 부산그린트러스트가 사…
|
|
행 사 명
6.13 지방선거 대응, 부산지역 공원일몰제 해소 1천인 시민선언
선언발표
*예정-2018년 4월20일(금) 10:00 (지구의 날)
장 소
부산시청 광장
주 최
2020 공원일몰재 대응 부산시민행동(준). 부산그린트러스트
…
|
|
2018년 정기총회를 통해 사업평가와 더불어 2017년 재정결산에 대한 통보를 받았습니다.
|
|
2017년 회원님들과 후원자님들의 회비 및 후원금에 대한 연간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공지합니다. 올해도 부산그린트러스트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회원님들의 힘과 사랑으로 더 열심히 부산의 녹지사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
2020 공원일몰제 대응 전국시민행동이 3월28일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우리동네 도시공원 지키기’ 국민 온라인 서명캠페인 및
2018 지방선거 후보자 도시공원 일몰제 관련 정책 협약 활동 선포
이날 기자회견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사회: 정은아 (마창진 환…
|
|
3월24일 부산그린트러스트와 서울그린트러스트가 공동주최하고 현대해상 부산직원 가족이 함께한 희망한그루 행사가 나루공원에서 있었다. 겨울을 지나오며 빛바랜 나루공원에 모처럼 꽃 물결 넘치고 푸른 잎을 단 나무들이 식재됐다.
□ 행사목적
-식목일을 전후한 식목행사로 도시숲 조성에 기여
-공원의 가드닝…
|
|
지난 3월19일 긴급임시이사회가 개최되었다. 안건은 2월28일 개최된 2018년 정기총회 결정 위임사항 결정회의 였다. 이날 이사회가 다룬 안건은 다음과 같다.
1) 공석 이사장 해소
- 정기총회 전.후 신임이사장 추대 작업이 무산됨에 따른 업무공백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간 단체 활동을 정상화 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