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향후 부산국가도시공원 실현에 대비한 공원활동가 및 지도자 양성
• 둔치도 국가도시공원 추진 정보공유 및 방향 제시
• 아카데미를 통한 시민참여 공원 프로그램 만들기
• 100만평문화공원 회원의 교육 및 참여마당
• 일반시…
|
|
부산꼬리풀 자생지 복원 및 시민트러스트 도모 세미나 안내
일시: 2017년 8월 29일(화) 16:00~18:00장소: 부산시민공원 사랑채 안용복방 주최: 부산그린트러스트. 부산광역시 ----------------------------------------------------------------개최배…
|
|
여는 공연은 플립(Freed)이 맡았다. 너무 차분해서 중간에 신나는 노래도 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임랑 벽화 마을-앤의 마을 이야기
김요아킴
백사장으…
|
|
8월16일 오후 사무처는 회원들과 같이 강서 지역 고원 귀화식물 조사에 들었다. 나루, 자성대, 시민고우언에 이어 4차 조사에서는 보람공원, 신호공원 , 맥도생태공원을 대상화 했고, 보람과 신호에서는 도깨비가지가 군락으로 자리고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맥도생태공원 수변부의 경우 환경부 지정 생물종 교란 식물인 가시…
|
|
8월 16일 부산시민공원 풀에게 말을 걸다 7회차 특강이 있었다. 오락가락 날씨 속에 다양한 자원봉사자의 참여가 있었다. 성인3 대학생 2 고교생 10 중학생 10 명이 참여했으며 북 4문 일대를 제초했다. 제초 과정에서 돼지풀이 발견되기도 했다.
|
|
행사구성 및 진행시간
진행 시간
타이틀명
내용
17:00
1부
여는 시간
인사말과
행사개요 안내
-부산그린트러스트
17:10
여는 음악공연
-프립 (Freeb)
17:45
…
|
|
8월9일 부산지방병호사회가 주최하고 환경인권소위원회. 부산그린트러스트. 부산시의회. 부산환경포럼, 부산시가 공동 주관한 공원 일몰제 세미나가 성료했다. 간만에 비까지 동반한 이날 세미나는 이처문 부산변호사회 회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강동규 환경위원회 위원장의 사회로 발제자와 토론자와 소개 가 있었다.
이날 서울에…
|
|
참 더웠다. 신청자 절반 이상이 오지 않았다.
난감한 노릇이었다. 그럼에도 참석한 자원봉사자는 무엇인가
올해로 3년차 진행중인 시민공원 볼런티어 활성화 프로그램 -시민, 풀에게 말을 걸다 가 이곳저곳 언론보도에도 불구하고 참석율이 저조했다. 원인은 하나였다. 날씨때문이었다. 하기…
|
|
부산그린트러스트 "부산시민공원에서 풀에게 말을 걸어 보세요!"
부산그린트러스트가 오는 7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공원 내 자원봉사를 원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한 생태 특강과 제초 작업을 총 11회에 걸쳐 진행한다. 2015년부터 일반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펼쳐온 '잡초 특강'은 풀의 생태 특성과 번…
|
|
지난 7월10일과 7월28일 2회의 사전 간담회를 통해 부산지역의 공원일몰제에 대한 시민토론의 자리가 마련된다. 회의의 결정에 따라
○ 세미나 개최 주최 부산지방변호사 소환경위원회. 부산그린트러스트. 부산환경포럼. 부산광역시 시의회 공동명의로 개최 함
○ 세미나 개최는 2회로 하며 1차는 법제도와 관…
|
|
7월30일 부산MBC시사토커 공원일몰제 해법 토론이 있었다 김동필 부산대 교수, 임재문 동의대 도시계획공학과 교수, 여운철 부산시 공원운영과장 이성근 부산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이 출연, 부산지역 공원일몰제의 영향과 문제점을 짚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자리를 통해 헌재 판결의 해석과 미집행도시게획시설의 집행에 따른 …
|
|
7월26일 대전 NGO센터에서 3차 '2020공원일몰제 대응 전국시민행동 '3차 모임이 있었다. 이날 모임의 목적은 현황공유와 향후 대정부 대응 방향과 각 지역별 쟁점에 대해 논의였다.
크게 1999년 헌법불합치 결정은 정당한가
결정 이후 법제도는 개선되었는가 개악되었는가
국공유지를 일몰 대상에 포함…
|
|
무더운 날이었다. 수료자들이 범일동 부산그린트러스트 사무실에 땀내 풍기며 올라 왔을 때 선풍기 몇 대가 그들을 반겼다. 마도정 4기들이 수료 후 정기모임을 가지면서 특강을 중심으로 계속 적인 진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회비를걷고 모임의 틀을 만들었다. 사무처는 특강을 해줄 강사를 섭외하면서 진행중인…
|
|
유엔문화마을 골목가드닝사업은 지난 6월 2일부로 공식적으로 끝났다. 그렇지만 그날 이후 이 마을의 출입은 계속되고 있다. 예산만큼 집행하면 끝일까 . 마을과의 관계는 거기 까지 인가. 솔직히 지금부터가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마을살리기 그냥 이루어 지지 않는다. 최소 5년은 경과해야 한다. 헌데 고작해봐야 …
|
|
[부산시의회 및 부산시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역할 촉구 기자회견문]
부산시의회와 부산시는 신고리5・6호기 백지화에 적극 나서라!
부산시민의 힘으로 폐쇄 결정을 이룬 고리1호기는 지난 6월19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영구정지 기념행사를 마지막으로 역사의 뒤안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