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서를 지나자 어둠이 읽찍 내리기 시작한다. 호천마을 주민역량강화 환경교육이 종점을 향해 가고 있다. 7번째 강의는 도시농업 이야기로서 부산귀농학교 최성찬강사가 맡았다.
확실히 선진지 답사는 효과가 있었다. 답사 이후 주민의 참석이 고정화되어 가고 있고 대부분 선진지 답사에 참여했던 분들이다.
농…
|
|
부산그린트러스트의 사업에 관심과 격려를 보내주던 제주 올레가 9월2일부터 9월8일 서면 소민이트센터에서 제주를 상징하는 에코 디다인 제품전을 한다고 합니다.
|
|
8월26일 (수) 가야2동주민센터에서
시청 공원운영과 이동흡계장님을 모시고
수정터널 상부공간 연결 사업 실시설계 현황에
대한 설명과 주민과의 의견나눔이 있었습니다.
어느덧 8주차 스튜디오 강의가 끝이나고 이제는 공동체활동 프로그램과 선진지 견학 그리고 수료식만을 남겨놨습니다. 이번 교육과 소…
|
|
'고깃국에 이밥' 기원하며 300년간 '하얀 밥공기' 피웠다
▲ 지난 5월 석대 이팝나무 초록 잎 위로 하얀 꽃이 만개했다. 골목으로 튀어나왔는데도 큰 손상없이 300년을 버텼다는 사실이 놀랍다. 김병집 기자 bjk@
'고깃국에 이밥'. 원초적 생존의 조건마저 위태롭던 시절…
|
|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 김동호 센터장님을 모시고
가야1동 주민센터 2층 회의실에서 시민감리단에 대한
설명과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앞으로 1번의 스튜디오 강의와 공동체 정원 가꾸기 활동, 선진지 견학이 남은 상태이다.
|
|
(부산그린트러스트, 녹색도시 부산21, 부산도시재생센터)가 모여 8월20일
2015년 글로벌 그린커뮤니티 캠프의 평가회와
앞으로 3개단체가 함께 글로벌 그린커뮤니티 캠프의 추진에 대한 협약식을 가졌다.
|
|
작년 글로벌캠퍼들과 부산그린트러스가 함께 만든 마을 화단을 재정비하고자
캠퍼들의 솜씨로 화단페인팅작업 실시
각 나라말을 넣어 포인트를 주었다. 시원한 느낌의 하늘색을 택한것은 탁월한듯^^
오늘밤을 마지막으로 내일은 헤어지는 캠퍼들!!
마지막을 아쉬워하며 작별의 눈믈을 나누…
|
|
마을에서 참가 캠퍼들에게 문화체험을 해주고자 한복체험을 실시!!
|
|
마을 구석구석 숨은 미션을 찾고 마을 문화를 이해하는 우리동네 오리엔티어링을 실시.
가장 늦은 팀에게 아이스버킷 체험으로 벌칙을 삼았다. 무더운 날씨 재미나게 마을을 알아가고 시원한 벌칙도 함께 나눴다^^
|
|
7월28일 본격적인 그린 커뮤니티 캠퍼들의 활동이 시작되었다.
안창 호랭이 마을을 청소하며 마을을 둘러보고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는 활동을 시작으로 2주간의 캠프를 알렸다.
8월3일 부산그린트러스트와 함께 캠퍼들은 마을 입구 길목에 사계절국화와 황금…
|
|
김동필 교수님을 모시고 근린공원의 취지, 운영사례와 시민참여 에 대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7/29(수) 오후2시 ~3시
가야2동주민센터 2층 회의실
|
|
지난 8월1일부터 매주 토요일 부산그린트러스트 부산광역시 지원봉사센터, 부산시민공원 공동주최로 볼런티어 참여 활성화의 일환으로 잡초 특강이 열리고 있다. 행사 개최 배경은 시민공원 개장 전 후 수목의 이식 과정에서 유입된 잡초를 제거함에 있어 귀화식물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한 제초가 이루어 짐에 초본 및 귀화식물에…
|
|
8월20일 진구 범천2동 호천마을 비가 내리는 가운데 주민환경역량 강화 환경교육 여섯번째 강의가 있는 날
경로당 방바닥에 신문지가 깔리고 저녁 7시를 기준으로 주민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선진 사례 탐방에서 열성적으로 임하던 할머니들이 먼저 얼굴을 보였다. 그리고 주민협의회 중장년 남자 회원들이 조금 늦…
|
|
8월20일 오전 11시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센터
2014년에 이어 2015년 7월 동구 안창 호랭이마을에서 글로벌 그린 커뮤니티 캠프가 개최된 바 있다. 행사를 공동주최 했던 3개 단체, 예컨데 부산그린트러스트와 녹색도시부산21추진협의회 그리고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향후 지속적으로 전개될 캠프의 승승을 …
|
|
답사배경: 관리가 소홀한 마을하천인 호계천을 쓰레기투기, 생활하수 유입 등의 오염없는 깨끗하고 건강한 하천을 만들어 나감에 있어 거창 지내마을 주민의 참여와 노력, 다양한 자원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도랑을 살린 경험을 벤치마킹하기 위함. 나아가 도시농업에 대한 이해와 이의 마을공동체 활성화에 반영하기 위함
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