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그린트러스트

공지사항

부산일보 '100인 원탁회의' 주요 내용 "관 주도 '하지 마라 공원' 대신 소통 가능한 '하라 공원'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6,051회 작성일 14-06-26 15:36

본문

'100인 원탁회의' 주요 내용 "관 주도 '하지 마라 공원' 대신 소통 가능한 '하라 공원'으로…"


2014-06-26 [11:06:13] | 수정시간: 2014-06-26 [14:33:12] | 3면
▲ 25일 부산시민공원에서 부산일보사와 부산그린트러스트 주최로 진행된 시민 100인 원탁회의 '부산의 공원문화, 시민에게 길을 묻다'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정보통신기술인 무선 웹 토론시스템 및 무선 전자투표기를 이용해 의견을 표현하고 있다. 강원태 기자 wkang@
시민 100인 원탁회의 '부산의 공원문화, 시민에게 길을 묻다'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부산시민공원'을 희망했다. 참석자들은 '청소년 참여 시설을 만들어 달라' '사회적 약자들이 불편 없이 거닐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시민공원의 랜드마크를 조성해 명품 관광공원으로 조성하자' 등 다양한 목소리들을 쏟아냈다. 특히 시민공원과 서면 등 주변지역 사이의 경계를 없애고 연계성을 높여 공원 문화가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도록 유도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시민 참여한 '협치체계' 구축 
장애인·청소년 배려 환경 조성 
주변 지역 연계 주문 쏟아져 

문화·소통 위한 콘텐츠 부족 
공원 역사 교육 필요성도 제기

■부산시민공원에 바라는 점

제1 토론에서는 다뤄진 주제는 '부산시민공원에 바라는 것은 무엇입니까?'이다.

참석자들은 그동안 관이 주도해 시민공원을 운영하다 보니 많은 시민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한계를 드러냈다는 점에 공감, 향후 시민들이 공원 운영에 참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Ey4AcrAvzXY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됐다. '문화 공간이 좀 더 필요하다' '아직 초창기여서 그런지 공원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다' '시민들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계절별로 주제를 다르게 하는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절실하다' 등이다.

현재 시민공원에는 숲 해설 프로그램, 음악회 등 나름대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이나 문화 행사가 이뤄지고 있으나 여전히 시민들의 자발적 관심이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부산시설공단 등 관이 주도해 공원을 운영하다 보니 시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데다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역량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따라 토론장 곳곳에서 시민공원이 관 주도로 운영될 게 아니라 시민들이 참여하는 '(가칭)민·관협치체계'를 구축하자는 목소리도 높았다.또 많은 참석자들이 사회적 약자나 청소년을 배려하는 공원이 되면 좋겠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시민들이 드넓은 시민공원을 자유롭게 다니는 게 힘들다고 한다. 

대학생 나다형 씨는 "시민공원에서 그동안 환경 캠페인 활동을 벌이며 현장에 오랫동안 지내 보니 공원 내 도로에 장애인 휠체어가 다닐 수 있는 공간이 없고 특히 공원 내 정자 등 일부 시설에는 장애인 보행시설이 없다"며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공원 문화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청소년 참석자들은 청소년 참여시설이나 프로그램을 확대해주길 원했다. 시민공원에는 뽀로로도서관, 물놀이광장, 어린이놀이터 등 어린이나 가족 단위의 시설은 많으나 정작 청소년들이 향유할 수 있는 시설은 없는 게 현실이다.

그동안 시민공원의 문제점으로 자주 거론된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 부족'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시민공원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원이 되기 위해서는 주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 시민공원은 도심 서면을 비롯 송상현광장, 동물원 '더파크', 어린이대공원 등 인근에 있는 부산의 주요 시설들과 연계성이 떨어지며 이들을 서로 이어줄 수 있는 콘텐츠도 부족하다는 게 시민들의 생각이다.


■부산시민공원의 미래 방향은

제2 토론의 주제는 '부산시민공원의 미래 방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이다.

많은 참석자들이 '시민공원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길 희망했다. 시민들은 '시민공원의 이름처럼 시민들이 공원으로 나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되면 좋겠다' '부산에는 탁 트인 공간이 부족하다. 드넓게 펼쳐진 시민공원이 시민들이 토론할 수 있는 공원이 되면 좋겠다'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시민공원은 산책로 등 하드웨어적 기반을 다졌으나 문화 등 시민들의 소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기반은 부족한 게 현실이다.

소통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시민공원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공원'이 돼야한다는 독특한 의견도 나왔다.

현재 시민공원은 잔디 보호, 공놀이 금지 등 '하지마라 공원'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 시민공원이 '하지마라'식의 강압적 공간이 아니라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하라'고 하는 열린 공원이 되면 보다 많은 시민들이 방문해 소통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발전연구원 오동하 박사는 "시민들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열린 공원이 되면 그동안 우리 사회에 뿌리내렸던 '하지마라'식의 강압적 문화도 조금씩 변하게 될 것"이라며 "강압적 문화가 사라지면 시민공원은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뤄지는 소통의 공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시민들 간의 소통도 중요하나 시민공원은 지역 역사와 소통도 이뤄져야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특히 시민공원은 우리나라 땅이지만 역사적으로 일본, 미국 등 남의 나라에 의해 수십 년 동안 통치된 아픈 기억이 스며들어 있는 곳인데 역사성을 담고 있는 시설물은 박물관 등 몇 곳에 불과하다는 게 시민들의 의견이다. 시민공원은 휴식 공간이면서 향후 다음 세대들에게 지역의 역사를 알려주는 교육의 현장이 돼야한다.

중국인 대학생 장야오 씨는 "시민공원의 역사에 대해 처음 알았다. 부산을 생각하면 역사보다는 해운대 아니면 태종대 등 관광지가 먼저 떠오른다"며 "시민공원이 부산 역사의 산 현장이었던 만큼 시민공원은 역사성을 잘 간직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민공원에 모기가 너무 많아요' '부전천과 전포천에 물이 흐르지 않아요' 등 시민공원에 고개를 절래절래 흔드는 시민들도 있었다. 이로 인해 생태공원을 지향하는 시민공원이 오히려 생태적 오염을 유발하는 거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강윤경·김 형·윤여진 기자

moon@busa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원녹지시민계획단

시민과 함께 부산의 공원녹지 100년을 구상하기 위한 작년에 이어 제2기 부산광역시 공원녹지 시민계획단을 모집 합니다. 많은 관심에 참여를 하시기 바랍니다.